본문 바로가기

불판

논란 스타들의 복귀 발판이 된 상담 예능

 

인종 차별 논란으로 방송계에서 퇴출당한 샘 오취리 약 3년 만에 방송활동을 재개했다.
지난 21일 방영된 채널 s ‘진격의 언니들-고민 커트 살롱’(이하 진격의 언니들)에 출연하면서 복귀 소식을 알린 샘 오취리. 샘오취리는 방송 시작과 동시에 "본격적으로 이야기를 하기 전에 사과드리고 싶다"며 "그동안 저를 좋아해 주시고 사랑해 주신 분들께 실망시켜드려 죄송하다"고 운을 뗐다.
 
앞서 샘 오취리는 2020년 매해 코믹한 졸업사진으로 주목받는 한 고등학교 학생들을 공개적으로 비판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학생들이 졸업사진에서 ‘관짝소년단’으로 유명해진 ‘Coffin Dance’를 패러디하여 졸업사진을 촬영했고 해당 사진을 본 샘 오취리가 SNS에 공개적으로 비판글을 업로드했다. 
이를 두고 네티즌들의 갑론을박이 일었는데 ‘얼굴을 검게 칠하여 흑인을 흉내낸 것은 블랙페이스로, 이는 역사적으로 인종차별의 의미를 갖는 행동이 맞다’는 입장과 ‘해당 학생들은 그저 Coffin Dance를 흉내낸 것일 뿐 인종차별의 의도를 갖고 블랙페이스를 한 것이 아니므로 문제 삼을 수 없다’는 입장이 첨예하게 맞섰다. 
하지만, 샘오취리가 유명인이라는 지위를 이용해 일개 고등학생들의 사진을 블러처리 없이 공개했다는 것과 게시글에 #teakpop이라는 K-POP 비하 해시태그를 사용하고, 과거 방송에서 동양인 비하 행동을 했다는 의혹이 붉어지며 여론은 급격히 기울기 시작했다.
결국 샘 오취리는 사과글을 기재했지만 인종 차별 역풍을 피할 수 없었고, 모든 방송에서 하차 후 자숙의 시간을 가졌다.

 

샘 오취리는 ‘진격의 언니들’에 출연하여 "그 친구들 생각을 못했다. 얼굴도 가리지 않았고 일부러 비하하는 의도도 아니었을텐데 그런 부분을 생각 못했다. 그때 사과문을 써서 올렸는데 사람들을 더 화나게 했다"고 답했다. 그는 "다시 제대로 사과하고 싶었는데 말을 잘못했다 오해 받을까봐 주변 사람들이 조용히 있으라더라. 그러다 일이 커졌다. 방송에서 얼굴 찌푸리기 코너를 했는데 그게 동양인 비하를 한다고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가나 대사관에 연락해 가나로 보내야 한다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한다. 일이 없어 강사 일자리를 부탁했는데, 학부모 항의 때문에 조심스럽다는 반응이었다. 범죄자인가 싶어 밖에 나가는 것도 사람들을 만나는 것도 무서워졌다"고 고백했다.

 

사과와 참회를 거듭한 방송이었지만 네티즌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그의 해명을 두고 한국에서의 활동을 위한 변명이라는 반응이 나온 것. 논란 후 상담 예능에 나와 복귀를 엿보는 스타들은 빈번히 있었다.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고, 대중들에게 사과를 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뒷광고 논란이 일었던 스타일리스트 ‘한혜연’, 조작 방송으로 물의를 빚은 방송인 ‘함소원’ 등 많은 공인들이 상담 예능을 이용했다.

 

방송 직전 샘 오취리도 한 유튜브 방송에 출연하여 ‘진격의 언니들’에서의 태도와 다른 모습을 보여줬다. 해당 영상에서 샘 오취리 ‘한국은 캔슬 컬쳐 문화가 심하다’며 잘못을 인식하지 못하는 듯한 발언을 해 대중들의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대중들은 참회가 아닌 복귀를 위한 수단으로 상담 예능을 이용하는 공인들에게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진정한 반성이 아닌 여전히 자신이 피해자라는 ‘자기연민’에 갇힌 샘 오취리는 대중에게 환영받지 못했다. 자극적인 방송을 위한 신파극이 아닌 따뜻한 힐링 상담소가 더욱 더 그리워지고 있다.

 

 

👉MZ세대 에디터의 한마디!
💚에디터 영철 : 한 입으로 두 말하는 태도가 대중들의 분노를 불러일으킨 거죠.
💗에디터 릴리 상담 예능을 보면 이제 안타깝다는 생각보다는 어이없다는 생각이 먼저 드니... 어디서부터 이렇게 되버린 건지 모르겠네요...
💜에디터 진정 : 대중들이 원치 않는 복귀. 대중들이 따뜻하게 품어 줄 필요는 없는 거지. 
💙에디터 기영 : 말 못할 사정이 있었을 수도 있지만 더는 논란이 있었던 인물을 상담 예능에서 보고 싶지 않아요.